본문 바로가기

DANNY/내생각

중국인 유학생은 ‘미래 친한파’인데 … [중앙일보]


한·중 문화협 1000명 설문

건국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탕예(唐燁). 그는 최근 한국 TV를 외면한다. 드라마에선 중국이 추한 모습으로 왜곡되기 일쑤고, 뉴스에선 중국산 짝퉁이 단골 소재로 오르기 때문이다. 그는 “한국 매체는 중국 깎아내리기가 취미인 것 같다”며 “드라마 ‘카인과 아벨’에선 중국이 너무나 부정적으로 묘사돼 중국인 유학생 모두가 격분했다”고 털어놨다. 국내 체류 중인 중국인 유학생은 10월 31일 기준으로 6만4300명. 전체 외국인 유학생(8만3480명)의 절대다수인 77%를 차지한다. 이들의 한국 생활 최대 고민은 무얼까.

으뜸은 바로 한국의 편견이나 오해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차이’(22.3%)로 나타났다. 한·중문화협회(총재 이영일)가 최근 한국 갤럽에 의뢰해 중국인 유학생 1000명을 조사한 결과다. 이들은 음식과 선후배 간의 관계, 술 문화, 중국인 무시 등을 가장 적응하기 힘든 한국의 4대 문화로 꼽았다.

한국은 대표적인 유학 역조국이다. 그러나 해외로 나간 한국인 유학생이 2005~2009년 사이 26.5% 늘어난 데 반해 같은 기간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은 약 270% 증가했다. 이 기간 중국인 유학생 수가 무려 422%나 급증한 데 힘입은 것이다.

특히 국내의 중국인 유학생 상당수가 중상류층 출신으로 중국 내 영향력이 큰 편이다. 지난해 상명대에서 교내 중국인 유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1.1%의 상류층을 포함해 무려 93.7%가 중산층 이상이라고 대답했다. “오바마 미 대통령은 앞으로 미국 유학생 10만 명을 중국으로 보내겠다고 약속했다. 미·중 관계를 위해서다. "한국이 국내로 유학 온 중국인 유학생 6만 명부터 ‘미래의 친한파’로 만들 수 없다면 항후 한·중 관계는 뻔한 게 아닌가.” 이영일 총재의 말이다.

그러나 이들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생활은 결코 녹록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문화적 차이 다음의 어려움으로 의료문제(17.4%)를 거론했다. 서울대 생활과학대의 진잉(金瑛)은 지난달 초 갑작스러운 현기증 때문에 학교 진료소를 찾았다. 의사는 정밀검사가 필요하다며 큰 병원을 권했다. 가까운 병원에서 몇 가지 검사를 받았고 이상이 없다는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진잉은 건강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아 검사료 18만원을 지불해야 했다. 한 달 용돈의 절반이 날아간 셈이다. 중국인 유학생은 국내 지역가입자 평균 부담액의 절반을 내면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있지만 진잉과 같이 미가입 학생이 절대 다수다. 조사 결과 “보험비가 비싸다”는 학생이 64.5%, “보험에 어떻게 가입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학생도 55%로 절반을 넘었다.

학교 생활 중에선 부족한 한국어 실력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조사됐다. 59.9%가 한국어를 알아듣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57.4%가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다고 대답했다. 한국어 교육에 대해서 이들은 “한국어 연수 비용이 비싸다”(52.6%), “소속 대학의 한국어 교육이 부실하다”(45.7%)고 불만을 토로해 한국어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진 중국연구소 연구원



--튀니지에 있어보니 한국과 비교해서 불편한게 한두가지가 아니지요 뭐 이런거야 적응되면 괜찮고 외국이니 그려려니 하지만 정작 한국에 있을때 외국인들이 어떤것에 불편해 하고 어려워 하는지 생각해 본적은 거의 없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생활의 불편함보다 더 힘들고 어려운것은 바로 현지인들의 태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곳 튀니지 사람들 아직도 대다수가 동양인을 보면 무지하게 까붑니다. 호기심도 있고 무시하는것도 있는데 참 어의가 없지요 쥐뿔도 없는것들이 어디서 저런 자신감이 나오는지 참 의문이 들때가 많습니다. 특히 중국인을 무시하는게 심한데 참어의가 없으면서도 한편으론 접하는게 없으니 모르기 때문에 저렇게 용감(?) 한것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성룡의 영화가 여기서 많이 유명한가 봅니다, 그래서 동양사람만 보면 젝키찬 하고 부르는데 한두번도 아니고 아주 어쩔땐 진절 머리가 나지요 주먹이 올라갈때가 참 많은데 다른 ㅅ ㄱ 하시는 분들 생각하며 참습니다. 행정 처리도 제각각 이어서 사소한일도 몇번씩 관공서를 갔다가 매번 빠뀌는 요구사항에 아주 진을 뺀다고 오래 사신분들에게 듣습니다. 한국에 아파트가 있냐고 물어는 현지인을 보고 할말을 잃었다는 한국분도 있지요 ㅋㅋㅋ 이럴때 한국 사진을좀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도 합니다.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국에 대해 많이 알아가고 있지만 아직도 제대로 모르는이도 많고 또 한편으로는 자기들 보다 우월한 문화를 본적이 없이 자신들만 보고 그 안에 사고가 고정되어서 있는 사람들을 무슨수로 꺠우칠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하긴 아프리카에선 튀니지가 그래도 선진국이니 뭐 자신들 만의 자부심일지도 모르지요 그런데 어느날 그날도 좀 열이 받아있었는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전쟁뒤 한참 어려울때 미군이 있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도 쥐뿔도 없고 얻어먹는 처지에 미군들 보고 양키라고 놀리고 했었죠? 그때 그들이 무슨생각을 했을까요? 그러니 아마 저와 같은 생각이지 않았을까요? 얻어 먹으면서도 자존심을 지킨다고 그랬을지도 모르고 호기심에 반응을 살펴보러고 그랬을지도 모르지만 지금 튀니지에서 겪는일과 비슷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역시 사람은 그 입장이 되어봐야 이해를 하나봅니다. 시간이 좀 걸리 겠지만 여기 사람들도 언젠가는 알게되겠죠? 또 한편으로는 우리에게도 언론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다른 나라를 보고 있지는 않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아무리 한국이 잘산다 해도 튀니지에서 6.25 당시 영화만 틀어준다면 그들이 볼때 한국은 여전히 불쌍한 나라가 되는것 처럼......우리 언론에서 비춰주는 대로 우리의 모든 사고과 시선이 고정되어 본질을 못보거나 부분만 보지않도록 주의 해야겠어요. 시간이 가고 나이가 먹을수록 내 입장만이 아닌 다른 입장도 생각해보고 그러면서 이해안되는것도 이해되고 배우는게 많네요. 암튼 한국에있는 외국인들에게 좀 잘해줍시다.